금성
3. 민족독립운동의 전개
1 일제 식민통치와 민족의 수난
주제4 경제 수탈과 민중의 생활
쌀 수탈을 목적으로 한 산미증식계획
제1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은 전쟁 물자를 팔아 막대한 이익을 챙겼다. 그러나 이 과정에서 많은 농민들이 도시의 일자리를 찾아 농촌을 떠났다. 그 결과 쌀값이 급등하여 일시적인 식량 부족 사태를 맞기에 이르렀다.
일제는 모자란 쌀을 조선에서 확보할 목적으로 산미 증식 계획을 세웠다. 토지와 수리 시설, 종자 등의 개량을 통해 식량 생산을 대폭 늘려 일본으로 더 많은 쌀을 가져가고, 우리 나라 농민의 생활도 안정시킨다는 것이 목표였다. 쌀 생산량은 어느 정도 늘어났으나, 원래의 계획대로 추진되지는 못하였다. 반면에, 일본으로 쌀의 반출량은 계속 늘어나 1 9 3 4년에는 거의 목표량에 가깝게 되었다. 이로 인해 조선 내에서는 식량이 부족하여 만주에서 들여오는 잡곡 등으로 식량을 메꾸어 갔다. 한편, 종자 개량, 수리 시설 개선 비용 등을 떠맡게 된 농민들은 더욱 어려운 처지가 되었다.
활동7 조선을 일본의 식량 공급지로 만들다.
산미 증식 계획은 일제하 조선의 농촌 경제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. 자료를 통해 산미 증식 계획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자.
| 자료 1| 조선 산미 증식 계획 요강
일본 내 쌀 소비는 연간 약 6,500만 석인데 생산고는 약 5,800만 석을 넘지 못해 해마다 그 부족분을 제국 반도 및 외국의 공급에 의지하는 형편이다. 게다가 일본의 인구는 해마다 약 70만 명씩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, 국민 생활의 향상과 함께 1인당 소비량도 역시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은 필연적인 대세이다. 장래 쌀의 공급은 계속 부족해질 것이고, 따라서 지금 미곡의 증수 계획을 수립하여 일본 제국의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진실로 국책상 급무라고 믿는다. >> 조선 산미증식 계획 요강, 조선 총독부 농림국, 1926년
| 자료 2| 산미 증식 계획과 농민 경제
도표: 조선 총독부, 농림국, 조선미곡요람, 1937
사진: 일본으로 가져갈 쌀이 쌓여 있는 인천항의 모습
과제1 자료1에서 일본이 산미증식계획을 세운 목적은 무엇인가?
과제2 자료2를 보면 쌀생산은 늘어가는데 그 쌀을 생산하는 농민들은 오히려 더 궁핍해졌다. 그 이유는 무엇일까?
과제3 일본으로의 쌀 유출량과 조선인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자.
더보기
|
ezio님에게 댓글
7차 교육과정 한국 근현대사
|